반응형
협상을 이어온 한미 양국이 협상 시한을 만 하루 남기고 극적으로 관세 협상을 마무리하고 결과를 발표하였습니다.
반응형
한미간 관세협상 결과 요약
- 한국->미국 제품에는 관세 15% 부과 미국-> 한국 제품에는 무관세 유지
- 자동차, 농산물 시장 전면개방
- 쌀,소고기 추가 개방은 없음
- 한국정부의 출자로 3,500억달러 규모의 대미 투자 펀드 조성 이중 1,500억달러는 조선산업 육성 전용 펀드로 구성
- 펀드 수익은 미국이 90%, 한국이 10%로 분배됨
한미간 관세협상 결과 분석
가장 핵심적인 관세는 15%로 일본과 EU과 같은 수준으로 부과되게 되었습니다. 이는 당초 예상치인 25%이상 보다는 훨씬 낮은 수치 이지만, GDP 규모와 비교해봤을때는 이들 국가보다 훨씬 타격이 클 것으로 보입니다.여기에 미국 제품에 대해서는 여전히 무관세 정책이 유지되기 때문에 한미간 무역수지 적자 폭이 깊어 질 것으로 보입니다. 또한 농산물 시장이 전면 개방되면서 농업 분야에서는 큰 타격이 불가피해 보입니다. 반면 자동차 시장은 여전히 무관세가 유지되면서 한숨 될렸다는 평가입니다.
한미간 관세협상 이후 경제 예측
- 관세 부담 경감
차량·강철·가전·의약품 등 주요 수출 품목이 25%에서 15%로 낮아지면서 일정 정도의 경쟁력 회복이 예상됩니다. - 고용 및 수출 회복 기대
특히 자동차와 가전 분야에서 수출 물량 및 수익성 회복 가능성. 다만 반도체 등 일부 품목은 기존에도 관세 면제 또는 낮은 관세율이 적용되었으므로 영향은 제한적입니 - 투자 유치 효과
미국 내에 대규모 투자가 예고되어 있으며, 한화·삼성·LG 등 기업들의 수주 확대에 따른 중장기 효과도 기대됩니다 - 내수 및 물류 여건
수출 감소 압력이 완화되면 기업들의 물류 전략 재편 등이 가능해질 수 있습니다.
협상기한을 불과 1일 남기고 극적으로 타결된 한미간 관세협상 결과가 향후 각 산업계 전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지 귀추가 주목되고 있습니다.
반응형
'경제소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기준금리 인하 발표(2.75->2.5) 배경과 영향 알아보기 (0) | 2025.05.29 |
---|---|
국민연금 개혁안 발표 주요내용 알아보기 (0) | 2025.03.20 |
상속세 부과 체계 개편안 발표 / 유산취득세 도입+배우자 공제 한도 확대: 상속세 부담 대폭 줄어들 전망 (0) | 2025.03.12 |
비수도권 그린벨트 해제-> 지역전략사업 15곳 추진 발표 / 선정지역 알아보기 (0) | 2025.02.25 |
한국은행 기준 금리 0.25% 인하 / 2년6개월만에 2%대 기준금리 (0) | 2025.02.25 |